투자 라운드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6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싱가포르 2022년 2월 22일 PRNewswire=연합뉴스) 싱가포르 기반의 Princeton Digital Group (PDG)가 Mubadala Investment Company (Mubadala)가 주도한 지분 투자 라운드를 통해 3억5천만 달러를 유치했다. PDG의 기존 주주인 Warburg Pincus와 온타리오티처스(Ontario Teachers' Pension Plan Board)도 이번 투자 라운드에 참여했다. 이로써 총 투자액은 5억 달러를 돌파했다.

2017년에 설립된 PDG는 아시아의 여러 핵심 디지털 경제국에서 우수한 입지를 구축한 선도적인 범아시아 데이터센터 운영업체다. PDG는 투자 라운드 5개국에서 보안 용량이 600MW가 넘는 20개의 데이터센터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PDG는 아시아 전역에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킬 신뢰성 높은 확장성 인터넷 기반시설과 세계적 수준의 데이터센터 서비스를 통해 하이퍼스케일러(Hyperscaler), 인터넷 및 클라우드 기업, 금융기관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PDG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으로 일본, 인도, 싱가포르, 중국 및 인도네시아에서 자사의 입지를 강화하고, 다른 시장으로의 확장 계획을 확대함으로써, 선도적인 범아시아 데이터센터 운영업체라는 입지를 공고히 할 계획이다. 아시아 지역은 대규모 인터넷 사용자 기반, 디지털화의 성장, 높은 수준의 데이터 사용 및 기술 적응력이 높은 젊은 인구 증가 등을 기반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데이터센터 지역 중 하나다.

Mubadala 부동산 겸 기반시설 투자 CEO Khaled Abdulla Al Qubaisi는 이번 PDG 투자와 관련해 "PDG 자금 조달 라운드를 주도하고, PDG의 성장 여정을 함께 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라며, "PDG는 강력한 순풍에 힘입어, 매력적인 시장에서 운영되는 하이퍼스케일 부문과 더욱 광범위하게는 아시아 디지털 경제국에서 증가하는 수요에 부응하는 선도적인 데이터센터 기반시설 플랫폼"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앞으로 PDG 경영팀과 협력해 성장 기회를 활용하고, 지속가능하고 장기적인 가치 창출뿐만 아니라 경제 발전도 지원하는 핵심적인 기업으로서 아시아의 디지털 기반시설 발전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PDG 공동 설립자이자 회장 겸 CEO인 Rangu Salgame는 "굴지의 국부 펀드인 Mubadala가 자사의 우량 투자사가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Mubadala는 장기적인 투자 실적과 디지털 기반시설 부문에 대한 광범위한 노하우를 통해, 사업을 확장 중인 자사의 훌륭한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Warburg Pincus와 온타리오티처스가 자사에 보여준 꾸준한 신뢰와 확신에서 용기를 얻었다"고 덧붙였다.

온타리오티처스 아시아태평양 지역 선임 상무이사 Ben Chan은 "초기 투자 후, 우리는 고도로 차별화된 전략을 성공적으로 시행하며 가치 창출에 집중하는 PDG 경영팀의 능력에 깊은 인상을 투자 라운드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PDG에 두 번째로 투자하고, PDG의 성장을 가속화 하는 데 일조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앞으로 이 여정에서 Mubadala 및 Warburg Pincus와 함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Warburg Pincus 상무이사 Ellen Ng는 "설립 당시에 회사 설립자들을 지원한 후, 이들의 리더십과 강력한 논지 실행력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투자 라운드 투자 라운드 말했다. 이어 그는 "PDG의 여정을 계속 함께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라며, "PDG가 진정으로 변혁적인 시장 기회를 이용할 최상의 입지를 확보했다고 확신한다"라고 강조했다.

Princeton Digital Group (PDG)은 선도적인 인터넷 기반시설 투자사, 개발사 및 운영업체다. PDG의 본사는 싱가포르에 있으며, 중국, 싱가포르, 인도, 인도네시아 및 일본에 진출해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PDG는 데이터센터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아시아 전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디지털 경제국에서 하이퍼스케일러와 기업의 확장을 지원한다. 추가 정보는 웹사이트 www.princetondg.com을 참조하거나 링크트인[https://bit.ly/3HQGhMT ]을 팔로우한다.

Mubadala Investment Company 소개

Mubadala Investment Company는 아부다비 정부를 위해 지속가능한 재정 수익 창출을 목표로 세계적인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 국부 투자 기업이다. 2천434억 달러(8천940억 다르함)에 달하는 Mubadala의 포트폴리오는 여섯 개 대륙을 아우르며, 다양한 부문과 자산 등급에 걸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Mubadala는 아랍에미리트 경제의 꾸준한 다각화와 국제적 통합을 지원하는 한편, 심층적인 부문별 전문성과 오랜 파트너십을 활용해 지속가능한 성장과 수익을 도모한다. Mubadala의 디지털 기반시설 부서는 세계 곳곳에서 물리적 자산에 투자하며, 세계적인 디지털화 경향과 더불어 연결성, 데이터 저장 및 전산력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강조한다.

Mubadala의 본사는 아부다비에 있으며, 런던, 리우데자네이루, 모스크바, 뉴욕, 샌프란시스코 및 투자 라운드 베이징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Mubadala Investment Company에 관한 추가 정보는 웹사이트 www.mubadala.com을 참조한다.

Warburg Pincus 소개

Warburg Pincus LLC는 선도적인 글로벌 성장 투자사로, 관리자산은 730억 달러 이상에 달한다. 235개 이상의 기업으로 구성된 Warburg Pincus의 활성 포트폴리오는 단계, 부문 및 지리별로 고도로 다각화 돼 있다. Warburg Pincus는 지속가능한 가치를 보유한 견실한 기업을 구축하고자 하는 경영진에게 노련한 파트너로 활약한다. 1966년에 설립된 Warburg Pincus는 20개의 사모펀드와 2개의 부동산 펀드를 구축했으며, 이를 통해 40개국 이상에서 1,000개가 넘는 기업에 1천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다. Warburg Pincus는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암스테르담, 베이징, 베를린, 홍콩, 휴스턴, 런던, 룩셈부르크, 뭄바이, 모리셔스, 샌프란시스코, 상파울루, 상하이 및 싱가포르에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추가 정보는 웹사이트 www.warburgpincus.com을 참조하거나 링크트인[https://www.linkedin.com/company/warburg-pincus ]을 팔로우한다.

온타리오티처스(온타리오교사연금공단)은 캐나다 최대의 단일 직업 연금을 관리하며, 순자산은 2천277억 달러에 달한다(별도 언급이 없다면, 이하 모든 수치는 2021년 6월 30일 기준). 동 연금은 전 세계에서 다양한 자산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약 투자 라운드 80%는 연금 자체 조직이 관리한다. 1990년에 연금이제정된 후, 전체 펀드의 연간 순수익률은 9.6%에 달한다. 온타리오티처스는 독립 조직이며, 본사는 토론토에 있다. 동 연금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사무소는 홍콩과 싱가포르에 있으며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투자 라운드 사무소는 런던에 소재한다. 2021년 1월 1일 기준으로, 전액이 펀딩된 특정인 수혜의 동 연금은 온타리오주 전·현직 교사 33만1천 명의 연금을 관리하고 투자한다. 더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 otpp.com을 참조한다.

Princeton Digital Group
Grace Chen
[email protected]

PRecious Communications for Princeton Digital Group
[email protected]

투자 라운드

[안녕하세요. '슬라운드'의 창업자 용현석 손종화 입니다]

저희 둘은 대학교 동기로 만나 각자 'CEO 사관학교'로 불리는 McKinsey 컨설팅과 P&G에서의 업무 경험을 통해 창업가로써의 자질을 키워왔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훌륭한 리더'와 '사랑받는 브랜드'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으로 슬라운드를 창업했습니다.

우리는 초심을 잃지 않고자 두. 더 보기 [안녕하세요. '슬라운드'의 창업자 용현석 손종화 입니다]

저희 둘은 대학교 동기로 만나 각자 'CEO 사관학교'로 불리는 McKinsey 컨설팅과 P&G에서의 업무 경험을 통해 창업가로써의 자질을 키워왔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훌륭한 리더'와 '사랑받는 브랜드'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으로 슬라운드를 창업했습니다.

우리는 초심을 잃지 않고자 두 가지 가치에 집요하게 매달리고 있습니다.

첫째는 '동료 경험' 입니다. 우리는 뚜렷한 동기와 집요함을 가진 개인들의 성장 잠재력이 무한 하다고 생각합니다. 갓 대학을 투자 라운드 졸업하고 슬라운드에 합류한 초기 멤버들이 팀을 이끄는 리더로 성장하는 과정을 보면서 이런 믿음은 더욱 확고해 졌습니다. 잠재력 투자 라운드 있는 인재들을 검증된 리더로 키워내기 위해 체계적인 신규 입사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둘째는 '고객 경험' 입니다. 우리는 고객 관점에서 생각하고 압도적인 제품과 경험을 제공하는 것만이 슬라운드가 성장할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슬라운드는 진정성 담긴 브랜드 스토리와 까다롭게 만든 제품으로 초기부터 팬을 만들며 성장해왔습니다. 복잡한 의사결정 상황에서도 항상 고객 관점에서 생각하면 명쾌한 답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슬라운드의 두 창업자는 사랑하는 부모님과 아내, 소중한 동료들이 써도 안전하고 만족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고자 하는 사명감을 바탕으로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슬라운드는 미국 최고의 매트리스 브랜드 기술자문 출신 30년 경력 엔지니어와 ‘한국인의 체형에 최적화된 메모리폼 매트리스'를 개발하였습니다.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하고, 고가 수입 매트리스를 뛰어넘을 만큼 편안한 슬라운드 메모리폼 매트리스. 이 첫 발자국을 시작으로, 슬라운드는 현재 그 어떤 관행과도 타협하지 않는 우리만의 원칙과 높은 기준 가진 진정성있는 브랜드로 성장하고 있으며, 많은 고객의 신뢰와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슬라운드는 ‘창업자’의 관점에서, 고객에게 신뢰와 사랑을 받는 ‘좋은 브랜드'로 회사를 직접 키워가고 싶은 분들을 찾습니다. 브랜드에 대한 오너쉽(Ownership) 을 가지고 주체적으로 성장과 경험의 기회를 만들어 가고 싶은 분이라면, 슬라운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부산시와 금융투자협회는 오는 26일 오후 2시 센탑(CENTAP, 센텀기술창업타운)에서 '제10회 머스트 라운드'(MUST Round)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머스트'(MUST: Meet, Understand, Share, Trust)는 액셀러레이터·벤처캐피탈 등 벤처투자자와 증권사·자산운용사 등 자본시장 투자자가 함께 참여하는 혁신·창업기업 투자유치를 위한 벤처투자 플랫폼이다. 올해로 3년째 운영되고 있다.

투자기반 네트워크 플랫폼 ‘MUST’는 가입된 회원을 대상으로 하는 비공개 사업으로 투자기관의 회원가입 신청을 상시 접수받고 있다. 현재 회원수는 액셀러레이터, 벤처캐피탈, 투자 라운드 자산운용사, 증권사 등 총 78개사다.

이번 제10회 머스트 라운드에서는 부산테크노파크,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부산경제진흥원, 부산디자인진흥원, 부산정보산업진흥원으로 구성된 기업선정협의회의 심사를 통해 선정된 혁신기술기업 4개사가 투자유치에 나선다.

발표기업은 현장에서 기업 IR을 하고 MUST 회원으로 가입된 증권사·자산운용사를 비롯해 액셀러레이터·벤처캐피탈 등 벤처투자자는 온라인 화상플랫폼으로 직접 질의·답변 등에 참여할 수 있다. 이후 개별적으로 기업과 접촉해 투자심사 및 심층면담을 진행한다.

이승정 금융투자협회 부산지회장은 "부산 금융중심지에서 출범한 머스트 플랫폼이 이번에 뜻깊은 열 번째 라운드를 개최하게 됐다"며 "지난해 총 48억원의 투자유치 성과를 이룬 만큼 올해도 머스트 라운드를 통한 투자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코로나19로 침체된 지역경제 회복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벤처생태계 활성화가 중요한 과제"라며 "우리시는 지속적인 벤처펀드 조성과 민관협력 강화를 통해 초기기업들의 도전을 지원할 수 있도록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인베스타엑스, 시리즈A 투자 라운드로 주요 암호화폐 투자사 및 자본 시장 업체들 유치

싱가포르 금융관리국(Monetary Authority of Singapore, MAS)의 인가를 받은 디지털 증권 거래 플랫폼 인베스타엑스(InvestaX)가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코인베이스 벤처스(Coinbase Ventures), 게이트 벤처스(Gate Ventures), 토큰 베이 캐피털(Token Bay Capital), 서스테이너빌리티 익스체인지 그룹(Sustainability Exchange Group, SEG), 글로벌 블록체인 벤처스(Global Blockchain Ventures), 스타트업-O(Startup-O), JST 캐피털(JST Capital), 박시 캐피털(Baksh Capital), 타크랄 코퍼레이션(Thakral Corporation Ltd), 우드사이드 홀딩스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Woodside Holdings Investment Management), 바라지 스리니바산(Balaji Srinivasan) 등의 전략적 신규 투자자를 유치했다고 18일 발표했다.

확장을 거듭하며 새로운 기술을 계속 선보이고 있는 공개 시장과 달리 비공개 시장의 혁신은 지금까지 지지부진한 상태다. 블록체인 기술 구현과 디지털 자산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비공개 시장 투자는 완전히 끊길 위기에 있다.

대체투자 전문 리서치 업체 프레킨(Preqin)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모든 자산군의 대체투자 운용 자산(AUM)은 13조3000억달러였으며, 2026년에는 그 규모가 23조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줄리안 콴(Julian Kwan) 인베스타엑스 최고경영자는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다양한 전략적 유한책임사원(LP)들을 유치해 기쁘다. 이는 디지털 증권 토큰이 암호화폐 시장과 자본 시장에 침투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또 디지털 자산, 디지털 증권, 증권형 토큰, NFT를 포함한 새로운 토큰 자산을 융합하려는 인베스타엑스의 전략을 투자자들이 인정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인베스타엑스는 개방형 아키텍처를 구축하고 있으며, 탈중앙화된 자산 세계의 힘을 믿는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서로 다른 산업 분야의 선도적 기업들과 힘을 모아 개방형 아키텍처를 구축하고 탈중앙화된 자산 세계로 나아가려는 인베스타엑스의 노력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인베스타엑스는 비공개 시장 자산을 연중무휴 즉각 매입·매도·거래·대출·차입할 수 있도록 중앙화 금융(CeFi)과 탈중앙화 금융(DeFi)을 잇는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오는 14일 오후 2시 부산역 유라시아플랫폼에서 금융투자협회(회장 나재철)와 함께 ‘제11회 머스트 라운드(MUST ROUND)’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19년에 처음 열린 ‘머스트 라운드’는 액셀러레이터, 벤처캐피탈 등의 벤처투자자와 증권사, 자산운영사 등의 자본시장 투자자가 함께 참여하는 혁신·창업기업 투자유치를 위한 벤처투자 플랫폼으로, ‘머스트(MUST)’에 가입된 회원사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투자 기반 네트워크 플랫폼 ‘머스트(MUST)’는 투자기관의 회원가입을 계속 받고 있으며, 현재 회원 수는 증권사, 자산운용사, 벤처캐피탈, 액셀러레이터 등 총 79개 사다.

이번 ‘제11회 머스트 라운드’에서는 혁신 기술기업 4개 사가 투자유치에 나서며, 이들은 부산테크노파크,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부산경제진흥원, 부산디자인진흥원, 부산정보산업진흥원으로 구성된 기업선정협의회의 심사를 통해 선정됐다.

투자유치에 나서는 기업은 현장에서 기업 설명(IR)을 하고, 머스트 회원사들이 현장 또는 온라인으로 설명을 듣고 궁금한 사항을 질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후, 개별적으로 기업과 만나 투자심사와 심층 면담을 이어간다.

금융투자협회 이승정 부산지회장은 “이번 설명회에는 시리즈 B 투자*를 희망하는 기업을 포함해 투자를 통해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들이 IR을 준비 중이다”라고 밝혔다.

* 시리즈 B 투자 : 개발 단계를 지나 기술을 상품화(본격적인 비즈니스와 서비스를 시작)하는 단계의 투자

이윤재 부산시 청년산학창업국장은 “글로벌 창업 중심도시 부산을 위해 지속적인 창업 인프라 확충 등 벤처기업 육성에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라며, “지역의 혁신기업들에 대한 금융투자회사와 벤처투자자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를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