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계약 체결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2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법원, 쌍용차-에디슨모터스 투자계약 체결 허가…곧 본계약

대우건설, 베트남 하노이 복합개발사업 투자 계약 체결

대우건설이 지난 26일 국내 투자자들과 함께 베트남 하노이 스타레이크시티에 위치한 H1HH1블록 개발을 위한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날 계약식에는 대우건설 한승 신사업추진실장을 비롯해 교보증권 한정수 이사, 유진투자증권 김관석 상무, JR투자운용 원동희 실장, 알스퀘어 윤여신 부사장, OTD코퍼레이션 사공훈 대표, 삼구아이앤씨 전승환 상무, 우미글로벌 강민석 부장 등 총 8개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H1HH1블록은 대우건설이 디벨로퍼로 총괄 기획해 조성 중인 스타레이크시티 신도시 내에 있는 복합개발사업 용지다. 대우건설은 이 용지를 개발해 지하2층~지상23층, 아파트 2개동(228가구)과 오피스 1개동 및 상가시설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총 사업비 1억8550만 달러(한화 약 2220억원) 규모다. 한국에 설립된 펀드(모회사)에서 싱가포르 SPC(자회사)에 출자해 베트남 현지 시행법인(손자회사)을 설립해 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대우건설은 펀드 투자뿐 아니라 시공에도 참여해 시행과 시공을 병행한다. 대우건설이 스타레이크시티 투자계약 체결 사업에서 직접 시행에 참여하는 건 이번이 두 번째다. 2020년 B3CC1블록에서 KDB산업은행, KB증권 등 국내 금융기관 6곳과 함께 공동 출자한 펀드를 조성해 호텔, 서비스레지던스, 오피스, 리테일 등 복합 빌딩을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해당 사업은 지난해 11월 기초설계(BD, Basic Design)승인을 받았으며, 올해 상반기 내 착공을 목표로 인허가를 진행 중이다. 이번 H1HH1블록 사업은 이익을 증대시키고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부동산 개발과 운영에 특화된 투자자들로 펀드를 구성했다. 토지매매부터 사업인허가, 자금조달, 펀드운용, 시공, 임대운영까지 개발사업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투자자들이 참여했다. 펀드는 총 4000만 달러(한화 약 479억원) 규모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하노이 스타레이크시티 사업은 국내 건설사가 자체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사업 전 과정을 기획한 대표적인 한국형 신도시 수출 사례"라며 "이번 H1HH1블록 사업은 다양한 분야의 투자자 참여로 국내 기업들의 베트남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베트남 하노이 스타레이크시티사업은 하노이 구도심 북서쪽에 위치한 서호(西湖) 지역에 여의도 면적의 3분의 2 크기인 210만4281㎡ 규모의 신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대우건설이 지분 100%를 소유한 베트남THT법인이 개발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대우건설, 하노이 복합개발사업 투자계약 체결

스타레이크신도시에 국내 투자자 함께 참여
공동 자금 출자로 펀드 조성·공동 사업 시행

입력 2022-01-29 13:12

대우건설은 국내 투자자들과 함께 베트남 하노이 H1HH1블록 개발 투자 계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대우건설

대우건설, 하노이 복합개발사업 투자계약 체결

대우건설은 최근 국내 투자자들과 함께 베트남 하노이 스타레이크시티에 위치한 H1HH1블록 개발을 위한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H1HH1블록은 대우건설이 디벨로퍼로 총괄 기획해 조성 중인 스타레이크시티 신도시 복합개발사업 용지이다. 대우건설은 이 용지를 개발해 지하2층~지상23층·아파트 2개동(228가구)과 오피스 1개동·상가시설을 건설한다.

이번 사업은 총 사업비 1억8550만 달러(한화 약 2220억원) 규모로 한국에 설립된 펀드(모회사)에서 싱가포르 SPC(자회사)에 출자해 베트남 현지 시행법인(손자회사)을 설립해 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대우건설은 펀드 투자와 함께 시행과 시공을 병행한다.

H1HH1블록 조감도. 자료=대우건설

대우건설, 하노이 복합개발사업 투자계약 체결

대우건설이 스타레이크시티 사업에서 직접 시행에 참여하는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대우건설은 2020년 B3CC1블록에서 KDB산업은행·KB증권 등 국내 금융기관 6곳과 함께 공동 출자한 펀드를 조성하고 호텔·서비스레지던스·오피스·리테일 등 복합 빌딩을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지난해 11월 기초설계(BD·Basic Design)승인을 받아 올해 상반기 착공을 목표로 인·허가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H1HH1블록 사업은 이익 증대와 함께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부동산 개발과 운영에 특화된 투자자들로 펀드를 구성했다. 토지매매부터 사업인허가, 자금조달, 펀드운용, 시공, 임대운영까지 개발사업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투자자들이 참여했다. 펀드는 총 4000만 달러(한화 약 479억) 규모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스타레이크시티 사업은 국내 건설사가 자체 노하우·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사업 전 과정을 기획한 대표적인 한국형 신도시 수출 사례"라며 "이번 H1HH1블록 사업은 다양한 분야의 투자자가 참여해 국내 기업들의 베트남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별 투자 계약 (SpIC 2.0)이 러시아의 상수도 및 폐수 처리 프로젝트를 위해 개방된다. 또한 그런포스(Grundfos)는 새로운 제조 기술과 새로운 일자리에 20억 루블 이상을 투자할 수 있다.

그런포스는 SpIC 2.0이라고도 불리는 특별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그런포스는 이제 러시아 현지 기업들과 같은 조건으로 경쟁할 수 있게 되었고 대형 정부 프로젝트에 입찰에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투자계약 체결

이번 계약으로 그런포스가 러시아 공장에 최신 기술 일부를 도입할 수 있고, 더 많은 러시아산 원자재를 사용하기로 약속했다.

SpIC 2.0은 그런포스가 러시아의 상수도, 난방 및 폐수를 위한 고효율 제품 프로젝트에 초점을 맞출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제조 기술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20억 루블 이상을 투자할 수 있는 길을 닦았다.

인나 마렌코바(Inna Marenkova) 그런포스 러시아 회장은 "그런포스의 러시아 공급사 지위 덕분에 품질과 에너지 효율이 높은 장비를 공급하며 러시아 고객들과 더욱 긴밀히 협력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런포스의 글로벌 전략은 항상 에너지 효율적인 장비의 생산으로 천연 자원을 절약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나톨리 슬로보딘스키(Anatoly Slobodinsky) 그런포스 이스트라 공장장은 "SpIC 2.0의 완성은 무엇보다도 러시아에 첨단 펌핑 장비 기술을 도입하고 국내 부품 공급업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힘을 주었다"면서 "SpIC 2.0의 틀 안에서 그런포스 이스트라 투자계약 체결 공장에서 제조된 제품은 러시아 기준과 그런포스의 고품질 요건을 모두 충족할 것"이라고 말했다.

SpIC 2.0은 투자계약 체결 2021년 12월 데니스 만투로프 러시아 산업통상부 장관, 안드레이 보로비요프 모스크바 주지사, 타티아나 비투셰바 이스트라 구청장, 아나톨리 슬로보딘스키 그런포스 이스트라 CEO가 서명했다.

[원문보기]

Grundfos signs Special Investment Contract in Russia

The Special Investment Contract (SpIC 2.0) opens up for water supply and wastewater treatment projects in Russia. It also enables Grundfos to invest over two billion rubles in new manufacturing technologies and new jobs.

Grundfos has 투자계약 체결 signed a Special Investment Contract, also referred to as SpIC 2.0. With it, Grundfos can now compete on the same terms as local companies in Russia and enter tenders for large government projects.

The contract also means that Grundfos can introduce some of its newest technologies into its Russian plant. Furthermore, Grundfos commits to using more locally sourced raw materials.

SpIC 2.0 paves the way for Grundfos to invest over two billion rubles in new manufacturing technologies and creating new jobs as well as focus on projects within high efficiency products for water supply, heating and wastewater in Russia.

“We strongly believe that Grundfos' further presence in our country and the domestic supplier status will allow us to work more closely with Russian customers, providing quality and energy-efficient equipment," says Inna Marenkova, President, Grundfos Russia.

The global strategy for Grundfos has always focused on production of energy-efficient equipment saving natural resources and reducing environmental impact.

“Completion of SpIC 2.0 has first and foremost empowered us to bring advanced pumping equipment technology to Russia and contribute 투자계약 체결 to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omponent suppliers. The products manufactured at Grundfos Istra plant within the framework of SpIC will meet both Russian standards and the high-quality requirements of Grundfos, which guarantees 투자계약 체결 they are competitive in foreign markets," said Anatoly Slobodinsky, Plant Director of Grundfos Istra.

SpIC 2.0 투자계약 체결 was signed in December 2021 by Denis Manturov, Russian Minister of Industry and Trade, Andrey Vorobyov, Governor of Moscow Region, Tatiana Vitusheva, Head of Istra Municipality and Anatoly Slobodinsky, CEO Grundfos Istra.

투자계약 체결

베트남 하노이 스타레이크 신도시에 국내 투자자와 함께 복합개발사업 참여
총 사업비 1억 8550만달러(한화 약 2,220억원) 규모의 H1HH1블록 개발

- 국내 투자자와 공동으로 자금 출자해 펀드 조성 및 공동사업시행
- 대우건설, 교보증권, 유진투자증권, JR투자운용, 알스퀘어, OTD코퍼레이션, 삼구아이앤씨, 우미글로벌 등 8개사 펀드 참여

대우건설이 지난 26일 국내 투자자들과 함께 베트남 하노이 스타레이크시티(Starlake City)에 위치한 H1HH1블록 개발을 위한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이날 계약식에는 대우건설 한승 신사업추진실장을 비롯해 교보증권 한정수 이사, 유진투자증권 김관석 상무, JR투자운용 원동희 실장, 알스퀘어 윤여신 부사장, OTD코퍼레이션 사공훈 대표, 삼구아이앤씨 전승환 상무, 우미글로벌 강민석 부장 등 총 8개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H1HH1블록은 대우건설이 디벨로퍼로 총괄 기획해 조성 중인 스타레이크시티 신도시 내에 있는 복합개발사업 용지다.
대우건설은 이 용지를 개발해 지하2층~지상23층, 아파트 2개동(228가구)과 오피스 1개동 및 상가시설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총 사업비 1억8550만 달러(한화 약 2,220억원) 투자계약 체결 규모로 한국에 설립된 펀드(모회사)에서 싱가포르 SPC(자회사)에 출자해 베트남 현지 시행법인(손자회사)을 설립해 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대우건설은 펀드 투자뿐만 아니라 시공에도 참여해 시행과 시공을 병행한다.
대우건설이 스타레이크시티 사업에서 직접 시행에 참여하는 건 이번이 두 번째다.
대우건설은 2020년 B3CC1블록에서 KDB산업은행, KB증권 등 국내 금융기관 6곳과 함께 공동 출자한 펀드를 조성했으며 호텔, 서비스레지던스, 오피스, 리테일 등 복합 빌딩을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해당 사업은 지난해 11월 기초설계(BD, Basic Design)승인을 받았으며, 올해 상반기 내 착공을 목표로 인허가를 진행 중이다.
대우건설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H1HH1블록 사업은 이익을 증대시키고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부동산 개발과 운영에 특화된 투자자들로 펀드를 구성했다.
토지매매부터 사업인허가, 자금조달, 펀드운용, 시공, 임대운영까지 개발사업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투자자들이 참여했으며, 펀드는 총 4000만 달러(한화 약 479억) 규모다.
금융주간사는 교보증권·유진투자증권이 맡았으며, JR투자운용이 펀드운용사로 참여한다. 이 외에도 알스퀘어(오피스 임대 및 자산관리), OTD코퍼레이션(상가 임대 및 MD), 삼구아이앤씨(시설관리), 우미글로벌 등이 펀드에 참여한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하노이 스타레이크시티 사업은 국내 건설사가 자체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사업 전 과정을 기획한 대표적인 한국형 신도시 수출 사례”라며, “이번 H1HH1블록 사업은 다양한 분야의 투자자 참여로 국내 기업들의 베트남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 효과와 지속적인 투자 확대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밸류 체인(Value Chain)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법원, 쌍용차-에디슨모터스 투자계약 체결 허가…곧 본계약

법원, 쌍용차-에디슨모터스 투자계약 체결 허가…곧 본계약

법원, 쌍용차-에디슨모터스 투자계약 체결 허가…곧 본계약

서울회생법원은 10일 쌍용자동차가 제출한 에디슨모터스 인수합병 투자계약 체결을 허가했다. 양사는 협상을 마무리 짓고 이르면 10일 본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법원에 따르면 회생1부 서경환 수석부장판사는 쌍용차가 제출한 투자계약 체결 신청을 허가했다. 에디슨모터스는 곧 3천48억원을 쌍용차에 투자하는 본계약을 체결할 방침이다.

앞서 쌍용차와 에디슨모터스는 인수금액과 자금 사용처 사전협의 여부 등을 두고 이견을 보여 계약을 지연했다.

에디슨모터스는 쌍용차 정밀실사 기간 잠재적 부실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인수금액 삭감을 요구했다. 인수금액은 애초보다 51억원 삭감된 3천48억원으로 조정됐다.

에디슨모터스는 운영자금 500억원을 쌍용차에 지원하는 대신 쌍용차 사업계획과 자금 활용에 관여할 수 있도록 계약서 수정도 요구했다.

쌍용차는 '경영간섭'이라며 반발했고 법원의 회생계획안 인가 전 경영 개입은 있을 수 없다고 맞섰다.

전날까지 협의를 이어오던 양측은 법원 중재로 이견을 조율했고 본계약과 동시에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합의했다.

쌍용차는 에디슨모터스가 운영 자금으로 지원하는 500억원을 사전협의 후 사용하고,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디자인을 개선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에디슨모터스는 계약 체결과 함께 계약금 150억원을 지급하고 별개로 운영 자금 500억원도 추가 투입한다.

관계인 집회 개최 5영업일 전까지 내야 하는 인수 잔금 2천743억원은 KCGI로부터 마련한다. 애초 에디슨모터스는 쌍용차 인수를 위해 사모펀드 투자계약 체결 KCGI·키스톤PE와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키스톤PE는 투자금을 준비하지 못해 컨소시엄에서 빠졌다.

쌍용차는 3월 1일까지 회생계획안을 법원에 제출해야 한다. 이어 관계인 집회를 열고 채권단 3분의 2 이상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2022.01.10 2022.01.04 2021.12.28 2021.12.22

쌍용차의 공익채권 규모는 3천900억원이다. 회생채권을 합치면 부채 규모는 1조원을 넘는다. 공익채권을 우선 변제해야 하므로 에디슨모터스는 인수대금 대부분은 공익채권 상환에 활용할 계획이다.

회생에 필요한 운영자금 8천억원은 KCGI에서 추가 투자받을 계획이다. 투자은행 업계에 따르면 KCGI 투자금은 예상 금액보다 두 배 이상 많이 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