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 교류분석 (CS이론)
교류분석은 1957년 미국의 정신과 의사인 에릭 번에 의해 창안된 인간의 교류나 행동에 관한 이론 체계이자 동시에 거기에 의거하여 실기하는 치료요법입니다. "상호 반응하고 있는 인간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류를 분석하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교류라고 말할 때, 단순히 표면상의 말의 교환뿐만 아니라 마음 속 깊이 전해지는 미묘한 의미, 정교한 의도, 숨겨진 느낌 등 여러 측면을 포함한 깊은 수준의 의사소통을 의미합니다.
교류분석은 처음에는 집단치료에 이용되었으나 점차 상담이나 개인 치료와 다른 심리치료에도 응용할 수 있게 되어 앞으로도 계속 변화 발전될 것입니다. 또 교류분석은 심리치료의 근본을 이룬다고 말할 수 있는 정신분석과 행동주의에 기초를 두고, 일반인이 이해하기 쉬운 사고방식이나 방법을 치료에 도입하여 '정신분석학의 구어판'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현재에는 심리치료 내과나 심리임상의 현장에서 환자들의 이해나 치료에 쓰이고 있을 뿐 아니라 교육이나 산업의 현장에서도 폭 넓게 응용되고 있습니다. 그것은 TA가 자신발견의 방법으로서, 또한 대인관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알기 쉬우면서도 배운 것을 즉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기 때문입니다.
교류분석의 3대 철학은
첫째, 인간은 긍정적 존재이며,
둘째, 인간은 사고할 능력을 지닌 합리적 존재이고,
셋째, 인간은 변화와 성장을 위한 재 결단을 할 기본적인 분석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교류분석이란 알기 쉬운 자신발견의 방법으로 '원활한 인간관계의 과학이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교류분석은 전문적인 3가지 욕구이론과 4가지 분석이론으로 기본적인 분석 구성되어 있습니다.
3가지 욕구이론은 스트로크 이론, 시간의 구조화 이론, 대인관계에 있어서의 기본적 구조 이론입니다.
또한 4가지 분석이론은 성격의 구조분석, 교류형태분석, 게임분석(게임이란 대인관계 중에서 반복되는 나쁜 습관), 각본분석(인생을 하나의 드라마로 보고 자신이 현재 연기하고 있는 그 시나리오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1.스트로크(Stroke)
1) 모든 인간의 타고난 기본적인 욕구는 자극을 갈망하는 욕구입니다. 자극 갈망은 스트로크를 통해 채워집니다.
2) 스트로크는 친밀한 신체적 접촉에 대한 용어로 그 의미가 확대되어 타인에 의한 존재의 인정을 뜻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합니다.
3) 사람들 간에 인식이 이루어지게 되는 기본 단위로서 긍정적/부정적 스트로크가 있습니다. 언어와 신체적 접촉,표정,감정,몸짓 등의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의 수단에 의해 주어지는 존재의 인정을 의미합니다.
- 스트로크 방식은 개인이나 가족에 따라 학습되며 개인의 스트로크 방식은 성격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즉, 여러 가지 스트로크가 역동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사람은 다른 사람이나 자기 자신에 대한 느낌을 갖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기본적인 삶의 입장이 형성됩니다.
2. 시간 구조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에는 자극에의 욕구(자극 갈망)와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 이외에도 상대방과 스트로크를 주고받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자기가 원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환경 또는 생활시간을 계획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는데 이를 TA에서는 시간의 구조화라고 합니다.
1) 폐쇄
타인을 멀리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자신의 생각이나 상상으로 보내는 방식으로, 자기 스스로 스트로크를 주려는 자기애적인 모습을 나타냅니다. (스트로크 없음)
2) 의식
전통이나 관습적인 행사에만 의식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최소한의 기본적인 분석 스트로크를 유지합니다.
3) 활동
실용적으로 시간을 계획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일'에 몰두하면서 스트로크를 받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활동은 적극적이고 친밀한 인간관계를 의미하지 않으므로 자칫 소외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4) 잡담
무난한 화제로 깊이가 없는 스트로크를 나누는 사교적인 시간 활용 방식입니다.
5) 게임
잡담 이상의 인간관계가 필요한 경우 신뢰와 애정이 있는 진실한 교류를 원하지만 그것이 이루어지지 않아 일종의 솔직하지 못한 스트로크를 교환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즉 표면적으로는 합리적이라 하더라도 내부에는 동기를 수반하고 있는 계락을 가진 교류이다.
6) 친교
상대방을 신뢰하고 수수한 배려를 하는 진실한 형태의 스트로크를 교환하는 시간 구조화 방식입니다.
3. 인생 태도 기본적인 분석
어릴 때 부모와 주고받은 스트로크를 기초로 형성된 자기나 다른 사람 또는 세상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입니다.
1) 나는 괜찮지 않다 - 너는 괜찮다 (I'm not OK - You're OK)
- 자기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면서 타인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사람
2) 나는 괜찮지 않다 - 너도 괜찮지 않다 (I'm not OK - You're not OK)
- 나에 대한 자존감도 낮으며, 타인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사람
3) 나는 괜찮다 - 너는 괜찮지 않다 (I'm OK - You're not OK)
- 나는 항상 옳고, 타인은 잘못했다고 생각하며 무시하려는 사람
4) 나는 괜찮다 - 너도 괜찮다 (I'm OK - You're OK)
- 나와 타인 모두에 대해 긍정적인 사람
1. 구조 분석 - 자아 모형 삽입
- 자아 상태의 현상에 근거를 두고 그 사람의 사고, 감정과 행동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 사람은 모두 세 가지 즉, 부모의 자아 상태, 성인의 자아 상태, 아동의 자아 상태를 가지고 있고,
관찰이 가능하며, 역동적이어서 각 자아 상태는 말하는 내용이나 몸짓, 태도 등으로 나타납니다.
1) 부모 자아 상태 (P: parent ego state)
- 양친이나 양육자 등 외부로부터 획득한 태도나 행동으로 성립됩니다.
- 부모의 자아 상태는 기능적으로 다시 '통제적 부모(CP)'와 '양육(보호)적 부모(NP)'로 나뉩니다.
- CP (Critical Parents) : 규율, 도덕, 지시, 비판
- NP (Nurturing Parent) : 양육, 보호, 타협, 칭찬
2) 성인 자아 상태 (A: adult ego state)
- 논리적, 합리적, 타산적이며 객관적인 사실과 정보에 기초하여 이성적으로 문제를 해결합니다.
즉, 부모로부터 '배운 개념'과 아동의 '느낌 개념'으로부터 인생에 '터득한 능력'입니다.
- 감정보다는 이성적, 합리성, 생산성, 적응성을 가지며 냉정한 계산에 입각하여 그 기능을 발휘합니다.
3) 아동 자아 상태 (C: child ego state)
- 어렸을 때 느꼈던 감정이나 겪었던 경험을 똑같이 느끼거나 행동하는 자아입니다.
- 본능적, 직관적, 순응적 이어서 자기를 그대로 표현하거나 자기 본래의 감정을 억누르며 조심성 있는 언동을 보입니다.
- 이는 다시 '순응하는 아동 자아 상태(AC)'와 '자유로운 아동 자아 상태(FC)'로 나뉩니다.
- AC (Adaptive Child) : 겸손, 미숙, 모방, 소극적, 순응적, 눈치를 봄
- FC (Free Child) : 자유, 유연성, 무계획, 충동, 창의적, 호기심
2. 교류 분석
어떤 사람의 하나의 자아 상태에서 보내지는 자극이 다른 사람의 자아 상태에서 보내지는 반응이 되어 돌아오는 것입니다. (대화분석)
1) 상보적 교류 (기대한 대로 반응이 기본적인 분석 돌아오는 대화법)
송신자의 어떤 특정한 자아 상태에서 보내진 메시지가 수신자로부터 기대하였던 반응을 얻을 때 이루어지는 교류입니다. 다시 말해 주신자가 적절한 자아 상태에서 송신자를 수용하면서 동시에 기대하는 반응을 되돌려 보낼 때 이루어지는 교류입니다.
예) 무서운 영화를 본 후, 자녀가 "엄마, 오늘밤엔 엄마랑 같이 자고 싶어요"라고 말했을 때,
엄마가 "무서운 영화를 보더니 엄마랑 같이 자고 싶은 모양이구나"라고 말했을 경우
2) 교차적 요류 (기대한 대로 반응이 돌아오지 않는 대화법)
메시지를 보내는 송신자가 수신자로부터 기대했던 반응을 얻지 못할 때 일어나는 교류입니다.
이 경우, 의사소통이 깨지며 쌍방 간에 긴장과 갈등을 유발시킵니다.
그럼으로써 대화가 진행되지 못하게 됩니다.
예) 자녀가 "엄마, 내 장갑 어디 있어요?"라고 말했을 때,
"칠칠맞긴, 언제 제대로 네 물건을 챙길래?"라고 엄마가 말했을 경우
3) 이면적 교류
송신자가 보낸 메시지에 다른 의미가 내포되어 있을 때 일어나는 교류입니다.
나타내고자 하는 실제 의미(사회적 메세지)는 이면(심리적 메세지)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 경우 수신자는 메시지의 표면적인 의미에 대해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숨겨진 의미에 대해서 반응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비생산적인 의사소통이 됩니다.
예)
사회적 메시지
자녀 : 엄마, 아빠 오늘 몇 시에 들어오세요?
어머니 : 9시 전에 들어오실 것 같은데.
심리적 메시지
자녀 : 나는 오늘 저녁에 아빠랑 신나게 게임을 하고 싶어요
어머니 : 엄마도 아빠랑 이야기 나누고 싶은데.
3. 게임 분석
1) 게임은 반복해서 일어나는 일련의 상보 및 이면 교류이며 표면적으로는 합리적이라 하더라도
내부에는 동기를 수반하고 있는 계략을 가진 일련의 교류입니다.
2) 인간관계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에는 감추어진 함정이 있는데,
이것은 대게 이면적인 교류에서 나타나며 이러한 이면적인 교류를 게임이라고 합니다.
3) 카프만은 게임의 연기자는 희생자, 박해자, 구원자의 세 가지 역할을 하며 이 역할은 게임을 진행하면서 자주 앞뒤로 바뀐다고 하는 '드라마 삼각형'을 제시했습니다.
4. 각본 분석
1) 인생 각본은 어린 시절에 만들어진 뒤, 부모에 의해 강화되고, 그 후 일어나는 여러 사건에 의해 정당화되며 최종적으로 선택된 하나의 대안으로 절정에 도달한 것입니다.
2) 한 개인의 여러 가지 욕구 충족을 위한 게임, 살아오는 동안의 상호 교류에서 배우게 된 내용, 좋아하는 상호 교류 유형, 선택하게 된 삶의 자세 등이 총체적으로 나타난 결과로, 기본적인 분석 살아가는 방식이나 삶의 유형을 발달시키게 됩니다.
기본적인 분석
메타분석 논문을 쓰는 절차별로 그동안 간략하게 정리한 내용을 순서대로 배열해 보았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1-1. 효과크기 개념 및 종류
메타분석을 공부하고 소개하는 곳 입니다.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에서 메타분석을 전공하였고, 최근에는 네트워크 메타분석, 진단검사 메타분석, 메타 구조방정식, 다층구조방정식 모형 등을 공부하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SWOT 분석 생성기
Lucidchart는 다이어그램 작성, 데이터 시각화 및 협업을 결합하여 이해를 가속화하고 혁신을 주도하는 지능형 다이어그램 작성 애플리케이션입니다.
개인, 비즈니스와 학생을 위한 SWOT 분석 작성기
SWOT 분석 다이어그램으로 전략적인 비즈니스 계획 간소화
SWOT(강점, 약점, 기회 및 위협) 분석은 조직이 기회를 기본적인 분석 최대한 활용하고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팀원들은 이상적인 브레인스토밍 및 전략 기획 도구인 SWOT 분석 다이어그램을 통해 여러 가능한 결과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Lucidchart의 SWOT 분석 생성기를 사용하면 팀원들과 함께 조직의 강점 및 기회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이의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으며, 발생할 수 있는 내외부의 위협에 대한 대응책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학습 및 성장 촉진
SWOT 매트릭스는 자기성찰, 학문적 개선 및 교실 내 유용한 피드백을 위한 효과적인 모델로 기능할 수 있습니다. Lucidchart의 SWOT 분석 생성기를 사용하면 학생과 교사가 개별적인 강점과 약점뿐 아니라 학습자의 발전에 방해가 되는 요인을 빠르고 쉽게 파악 및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SWOT 매트릭스의 단순한 구성과 직관적인 구조는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분석, 현재의 이벤트, 문학 작품의 중요한 등장 인물 및 기타 언어학 요소를 가르칠 때에도 적합합니다.
다이어그램 작성 시간 단축 및 분석 시간 늘리기
SWOT 분석 차트는 간단하게 만들고 사용할 수 있는 도구이며, Lucidchart는 이러한 특성을 적극 반영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여타 SWOT 분석 도구와 달리, Lucidchart의 직관적인 캔버스에서는 사용자가 복잡한 인터페이스나 투박한 서식 도구에서 헤매면서 시간을 낭비하는 일 없이 분석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Lucidchart의 드래그 앤 드롭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형과 손쉽게 서식을 지정할 수 있는 선 및 텍스트를 이용해 별도로 배울 필요 없이 간단하고 효과적인 SWOT 분석 차트를 만들 기본적인 분석 수 있습니다.
실시간 협업으로 더 좋은 성과 달성
그룹 내에서 SWOT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 시 다양한 관점과 리스크를 반영해야 합니다. Lucidchart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실시간 협업 기능을 사용하면 모든 사용자가 하나의 SWOT 분석 차트에서 동시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변경 사항도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어 다른 사용자가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편집기 내 채팅 기능, @mention 코멘트, 단순해진 폴더 및 문서 공유 기능을 사용하여 협력자와 함께 언제 어디서나 꼼꼼하고 기본적인 분석 효과적인 SWOT 분석을 만들 수 있습니다.
SWOT 분석 실시 방법
템플릿 사용 또는 사분면 매트릭스 만들기
Lucidchart에서 SWOT 분석 템플릿을 선택하거나, 빈 캔버스에서 정사각형 4개로 구성된 그리드를 만듭니다.
각 사분면에 해당하는 카테고리의 이름 지정
각 사분면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왼쪽 맨 위 사분면은 강점, 오른쪽 위 사분면은 약점으로 지정합니다. 왼쪽 아래 사분면에는 기회를 나열하고, 오른쪽 아래 사분면에는 위협을 나열합니다.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사항을 특정한 순서 없이 입력
각 사분면에 목표에 영향을 주는 외부 요인(직접 통제할 수 없는 기회와 위협)과 내부 요인(직접 통제할 수 있는 강점과 약점)을 나열합니다.
확정 및 우선 순위 지정
브레인스토밍을 완료했다면 각 카테고리의 요인을 높은 우선순위에서 낮은 우선순위 순으로 정리하여 우선순위가 지정된 최종 SWOT 분석을 만드세요.
발표 및 공유
식별되고 우선순위가 기본적인 분석 지정된 SWOT 분석 결과를 팀원들에게 공유하여 비즈니스를 위한 장단기 전략을 수립하세요.
SWOT 분석 생성기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프레젠테이션 모드를 사용하면 Lucidchart에서 다이어그램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여 개별 슬라이드로 만들고 전문적인 느낌의 프레젠테이션을 할 수 있습니다.
Lucidchart는 매우 직관적이어서 불편 없이 아주 쉽게 텍스트를 추가하고, 텍스트에 서식을 지정하고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Lucidchart는 G Suite, MS Office, Confluence와 Slack 등 가장 인기 있는 앱과의 다양한 통합을 제공합니다.
가입하여 약정 없이 Lucidchart를 7일간 사용해보세요. 평가판은 무료이며 언제라도 자유롭게 취소할 수 있습니다. 평가판이 만료되기 전에 이메일로 알려드립니다.
Learn how to pronounce 기본적인 분석
Record the pronunciation of this word in your own voice and play it to listen to how you have pronounced it.
Click the record button to pronounce Unfortunately, this browser does not support voice recording. We recommend you to try Safari. Unfortunately, 기본적인 분석 this device does not support voice recording
Have you finished your recording?
Have you finished your recording?
Thank you for contributing Congrats! You've got the pronunciation of 기본적인 분석 right. Keep up. Oops! Seems like your pronunciation of 기본적인 분석 is not correct. You can try again.
Original audio Your audio Congrats! You have earned > points Try again
Click the record button to pronounce Unfortunately, this browser does not support voice recording. We recommend you to try Safari. Unfortunately, this device does not support voice recording
Have you finished your 기본적인 분석 recording?
Have you finished your recording?
Thank you for contributing Congrats! You've got the pronunciation of 기본적인 분석 right. Keep up. Oops! Seems like your pronunciation of 기본적인 분석 is not correct. You can try again.
Original audio Your audio Congrats! You have earned > points Try again
기본적인 분석
10X HBST buffer (50ml, 500ml)
Hepes buffered saline with tween20
10배 농축된 HBST buffer 입니다.
리간드 고정화 (amime 기본적인 분석 coupling, NTA-His, Avidin-biotin),
분자간 결합 실험의 운용버퍼로 사용됩니다.
본 버퍼는 filtration이 되어 있습니다.
0.002% T20 surfactants
COOH 기능화 센서칩을 위한 Amine coupling 관련 시약
Amine coupling은 리간드가 단백질인 경우 단백질의 amine을 COOH 센서 칩에 공유결합 시키는 방법입니다. 단백질에는 lysine, arginine 등 amine 잔기를 보유하고 있는 아미노산이 풍부하기 때문에 매우 성공적으로 COOH 센서 칩에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고정된 리간드는 공유결합이 되어 있기 때문에 regeneration 단계에서 탈착되지 않으며, 단백질 활성이 감소되지 않는다면 계속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백질 활성부위가 센서 칩 표면에 고정되어 활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positive 샘플에서도 신호가 보이지 않는다면 다른 고정화 방법 (단백질에 tag이 있다면 비공유 특이결합으로 단백질을 방향성 있게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을 선택할 것을 권장합니다.
Amine coupling kit
리간드의 고정화를 위한 activation, blocking, elution 버퍼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본 시약 세트는 약 100회 사용이 가능합니다.
Activation 시약1: Activation buffer (NHS, 50ml)
Activation 시약2: EDC, 1g
Blocking 시약: Quenching buffer, 50ml
Borate elution buffer, 50ml
리간드 고정화 버퍼
이 버퍼는 리간드의 고정화를 위한 pH 별 acetate 버퍼입니다. 이 버퍼를 amine coupling kit과 사용하면 효과적으로 리간드를 COOH 기능화 칩에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리간드 단백질의 pI 값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하는 단백질 고정화가 잘 제어되는 최적의 pH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범위의 acetate buffer를 보유할 것을 권장합니다.
5mM acetate buffer pH4.0, 50ml
5mM acetate buffer pH4.5, 50ml
5mM acetate buffer pH5.0, 50ml
5mM acetate buffer pH5.5, 50ml
NTA-Histag 결합 관련 시약
재조합 단백질은 많은 경우 his-tag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단백질이 amine coupling 방법으로 잘 고정화 되지 않거나 결합신호가 약하다면 NTA 센서 칩에 his-tag 부위를 비공유 결합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regeneration 단계에서 리간드 단백질까지 탈착되기 때문에 리간드 단백질이 다양한 경우 사용하면 좋습니다. 같은 이유로 kinetics evaluation을 할때는 single cycle kinetics 방법을 권장합니다.
NTA와 6xhistidine 결합은 아주 강한 결합이 아니기 때문에 실험중 계속해서 탈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충분한 washing을 진행한 후 drift가 최소화 되었을때 분석을 진행할 것을 권장합니다.
아이클루바이오에서 제공하는 NiHC1000M 센서 칩은 NTA와 6xhistidine의 결합력을 매우 강하게 향상시킨 특별한 제품입니다. 위와 같은 문제가 걱정된다면 NiHC1000M 사용을 권장합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