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블로그
※ 엠바고 주의 ※
방송 · 인터넷 매체는 9월 11일(화) 낮 12시부터 가능합니다.
□ (개요)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김상조, 공정위)는 한국산업조직학회와 공동으로 「2018 서울 국제 경제분석 세미나」를 9월 12일(수)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개최한다.
ㅇ 동 세미나는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와 EU, 미국, 러시아의 경쟁당국 및 학계의 경제분석 전문가들이 최신 경제분석 이슈에 대한 각국의 사례와 경험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자리이다.
□ (의의) 4차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시장과 기업환경의 급격한 진화로 인해 경쟁법 집행에서 경제이론적 설명과 실증분석을 통한 경제분석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고,
ㅇ 국경을 초월하는 기업활동과 소비로 인해 경쟁법 집행에 있어 경쟁당국간의 교류와 협력이 더욱 절실해 지고 있고 있다.
ㅇ 이러한 상황에서, 동 세미나의 개최는 아시아 국가와 EU, 미국, 러시아의 경제분석 이슈를 공유하는 국제적인 교류의 장으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 (연혁/특징) 공정위는 그간 국제협력를 통한 경제분석 역량강화를 목표로 2016년에 「한-EU 경제분석 공동세미나」를 처음 개최했으며 2017년에는 한국산업조직학회와 공동으로 세미나를 주관하였다.
ㅇ 올해는 참가국가를 EU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러시아, 미국으로 대폭 확대하고, 명칭도「2018 서울 국제 경제분석 세미나」로 변경하였다.
□ (세부일정) 세미나에서는 ‘배타조건부 가격책정행위에 대한 경제분석의 역할’을 주제로 EU, 일본, 미국과 한국의 사례와 경험을 중심으로 발표하고 토론한다.
ㅇ (주제) ‘배타조건부 가격책정행위’는 효율성을 증가시켜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이득이 되기도 하지만 독점사업자가 경쟁사업자를 배제하는데 악용될 수도 있다.
- 특히, 이번 세미나에서는 인텔(Intel)과 퀄컴(Qualcomm)의 조건부 리베이트에 대한 각국의 집행사례가 공유되는데, 최근 EU 사법재판소가 인텔* 항소심을 파기환송한바 있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 2009년 반독점 위반으로 10억600만 유로를 부과받았고, 일반법원에서는 2014년 패소함
- 한국 공정위는 2008년과 2009년에 각각 시정조치 (과징금 : 인텔(Intel) 266억원, 퀄컴(Qualcomm) 2,731억원) 하였고, 퀄컴(Qualcomm)사건의 경우 현재 대법원에 계류되어 있다.
* 고등법원에서는 위원회가 2사건 모두 승소(2013년)하였고, Intel은 상고하지 않음
ㅇ (기조연설) 개회식에서는 미국 MIT 대학의 마이클 윈스턴 (Michael Whinston) 교수가 ‘충성계약에 대한 반독점 분석’(Antitrust Analysis of Loyalty Contracts)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 이어서, 한국의 이상승 교수(서울대)가 토론자로 나서 기조연설에 대한 의견을 발표한다.
ㅇ (세션1) 세션1에서는 EU와 일본의 사례와 경험을 공유하고 토론한다.
- 前 EU 수석경제분석관 카이 우베 쿤 (Kai-Uwe Kühn) 교수가 EU 사법재판소의 인텔 판결 및 2018년 EU 퀄컴 사례의 함의에 대해 살펴보고,
- 일본 공정취인위원회 히데유키 시모즈 (Hideyuki Shimozu) 경제분석팀장이 일본의 2005년 인텔(Intel)과 2018년 미나 노 펫(Minna no Pet) 사례를 발표한다.
- 이어서, 미국 연방거래위원회 제레미 샌포드 박사 (Dr.Jeremy Sandford)와 한국의 김종민 교수(국민대)가 발표사례에 대한 열띤 토론을 벌인다.
ㅇ (세션2) 세션2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사례 및 경험에 대해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발표 및 토론하는 시간을 가진다.
- 미국 법무부 패트릭 그린리 박사(Dr. Patrick Greenlee)가 미국 유나이티드 리저널(United Regional) 건과 인텔(Intel) 사례를 공유하고,
- 한국 공정거래위원회 이승규 경제분석과장이 한국의 인텔(Intel), 퀄컴(Qualcomm)과 대한항공 사례를 중심으로 발표한다.
- 이어, 안드레이 치가노프(Andrey Tsyganov) 러시아 경쟁청 부청장, 중국 시장감독관리총국의 저우 민지아(Zhou Minjia) 회계사, 한국의 임영식 박사(김&장 법률사무소)가 토론자로 나선다.
□ (개회사) 김상조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경쟁법 집행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쟁당국이 기업의 행위가 시장의 경쟁을 저해하고, 소비자 후생을 제한한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입증해야한다” 고 밝히며
ㅇ “이는 법 위반혐의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함께 엄밀한 경제분석을 통해서 가능할 것이다”라고 경쟁법 집행에서 경제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위 자료를 인용하여 보도할 경우에는
출처를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www.ftc.go.kr
2018 서울 국제 경제분석 세미나
□ 행사일시 : 2018년 9월 12일(수), 10:00-17:40
□ 주 관 : 공정거래위원회, (사)한국산업조직학회
□ 주 제 : 배타조건부 가격책정행위에 대한 경제분석의 역할
□ 프로그램
시간
프로그램
10:00 - 10:30
□ 등록
개회식
10:30 - 12:00
(90분)
□ 개 회 사 : 김상조 (한국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10분)
□ 기조연설 : Michael Whinston (MIT 경제학과 교수) (50분)
□ 토 론 : 이상승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20분)
□ 질의응답 (10분)
12:00 - 13:10
(70분)
□ 오찬
제1세션 : EU, 일본의 사례 및 경험
13:30 - 15:10
(100분)
□ 좌장 : 전성훈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
□ 발표
․Kai-Uwe Kühn (前 EU 경쟁총국 수석 경제분석관) (25분)
․Hideyuki Shimozu (일본 공정취인위원회 경제분석팀장) (25분)
□ 토론
․Jeremy Sandford (미국 FTC 경제국 Economist) (20분)
․김종민 (국민대 경제학과 교수) (20분)
□ 질의응답 (10분)
15:10 - 15:30
(20분)
□ 휴식 (Coffee Break)
제2세션 : 미국과 한국 사례 및 경험
15:30 - 17:30
(120분)
□ 좌 장 : Michael Whinston (MIT 경제학과 교수)
□ 발표
․Patrick Greenlee (미국 DOJ 경제분석그룹 Economist) (25분)
․이승규 (한국 공정거래위원회 경제분석과장) (25분)
□ 토론
․Andrey Tsyganov (러시아 경쟁청 부청장) (20분)
․Zhou Minjia (중국 시장감독관리총국 가격규제과) (20분)
․임영식 (김&장 법률사무소 고문) (20분)
□ 질의응답 (10분)
폐회식
17:30 - 17:40
(10분)
□ 폐회사 : 이상승 (한국산업조직학회 회장)
※ 발표자와 토론자는 사정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위원장 개회사
2018 서울 국제 경제분석 세미나 개회사
국내외 귀빈 여러분!
반갑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김상조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산업조직학회가 공동주관하는
‘서울 국제 경제분석 세미나’에
이렇게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시고
참석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오늘 행사를 준비하는데 많은 지원과 도움을 주신
한국산업조직학회 이상승 회장님 및 관계자 분들께도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 자리에는 멀리
前 EU 경쟁총국 수석 경제분석관을 역임하신
카이 우베 쿤 (Kai-Uwe Kühn) 교수님,
러시아 경쟁청 안드레이 치가노프(Andrey Tsyganov) 부청장님,
미국 MIT 경제학부 마이클 윈스턴(Michael Whinston) 교수님과,
중국의 시장감독관리총국,
일본 공정취인위원회,
미국 법무부와 연방거래위원회의
경제분석 전문가 분들이 참석해 주셨습니다.
따뜻하게 환영합니다. 감사합니다.
4차 산업혁명의 진전에 따라
시장과 기업환경은 급격하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빅데이터, 인공지능, 알고리즘 등 지능정보기술이
정보통신기술과 결합되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없어지고,
국내시장과 국외시장의 구분도 무의미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비즈니스 전략도
과거에는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새롭고 다양한 비즈니스 전략들은
효율성을 증가시켜
소비자에게 이득이 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시장경쟁을 저해하여
경제전반에 해가 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환경변화는
특정 행위의 경쟁제한성을
일률적으로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판단하기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특정행위에 대한
경제이론적 설명과 그에 대한 실증분석은
경쟁법 집행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경을 초월하는 기업활동과 소비로 인해
국내집행을 목적으로한 경쟁법이라도
법 집행에 따른 효과는
국내와 해외의 경계가 없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경쟁당국간의 협력이 더욱 절실해 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경제분석의 국제적 이슈를 논의하고
각 경쟁당국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경험을 교류하여
올바른 법 집행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 공정거래위원회는
국제협력을 통한 경제분석 역량강화를 목표로
2016년에 ‘한-EU 경제분석 공동 세미나’를 처음 개최했으며, 2017년에는 한국 산업조직학회와 공동으로
세미나를 주관하였습니다.
올해부터는 참가국가를
EU뿐만 아니라
중국,일본,러시아,미국으로 대폭 확대하고,
세미나 명칭도 변경하여
‘서울 국제 경제분석 세미나’로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서울 국제 경제분석 세미나’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중국,일본,러시아 뿐만 아니라
EU,미국 등 선진 경쟁당국이 참여하여,
경제분석 관련 국제적 이슈를 논의하고
각국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경제분석 국제행사로 첫발을 내딛게 되었습니다.
오늘 세미나는
‘배타조건부 가격책정 행위에 대한 경제분석의 역할’을 주제로
한국과 EU,일본,미국 사례와 경험을
발표하고 토론합니다.
배타조건부 가격책정행위는
무임승차 방지, 소비자 가격인하 등 친경쟁적 효과도 있지만, 독점사업자가 경쟁사업자를 배제하거나,
사업자간 담합을 촉진시키는데 악용될 수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유사한 사례에 있어
국가별로 판단기준이 서로 다르고,
경제학자 및 법학자들도 견해가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시장과 기업환경 변화에 따른
경제분석의 중요성 및 각국의 입장을 확인 할 수 있는
흥미로운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오전에는
마이클 윈스턴(Michael whinston) 교수님께서
‘충성계약에 대한 반독점 분석’(Antitrust Analysis of Loyalty Contracts)에 대해 기조연설을 해주십니다.
이어서 산업조직학회 이상승 회장님께서
토론자로서 기조연설에 대한 의견을 발표합니다.
오후부터는
본격적으로 각국의 사례와 경험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제1세션은
EU,일본의 사례와 경험을 발표하는 시간으로
카이 우베 쿤 (Kai-Uwe Kühn) 교수님,
히데유키 시모즈 (Hideyuki Shimozu)
일본 공정취인위원회 경제분석팀장님께서
발표하십니다.
그리고, 발표에 이어
미국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연방거래위원회 제레미 샌포드 박사님(Dr.Jeremy Sandford),
우리나라 김종민 교수님께서
토론자로서 발표사례에 대한 의견과
해당국가 사례를 간략히 소개합니다.
제2세션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사례와 경험을 토론하는 시간입니다.
미국 법무부 패트릭 그린리 박사님(Dr. Patrick Greenlee)과
공정거래위원회 경제분석과 이승규 과장이 발표합니다.
아울러,
안드레이 치가노프(Andrey Tsyganov) 러시아 경쟁청 부청장님,
중국 시장감독관리총국의 저우 민지아(Zhou Minjia) 회계사님,
우리나라의 임영식 박사님께서 토론에 참여합니다.
플로어에서도 궁금한 사항에 대해서는
적극 질문해 주시기 바라며,
아이디어도 기탄없이 말씀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경쟁법 집행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쟁당국이 기업의 행위가
시장의 경쟁을 저해하고,
소비자 후생을 제한한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입증해야합니다.
이는, 법 위반혐의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함께
엄밀한 경제분석을 통해서 가능할 것입니다.
그동안 한국 공정거래위원회는
경제분석 전담부서를 만들고, 전문인력을 충원하는 등
경제분석 전문성 강화를 위해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아직 부족한 것이 사실입니다.
오늘 이 자리가
경쟁법의 경제분석 역량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킬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오늘 각 세션의 사회 및 주제발표와
토론을 기꺼이 맡아주신
국내·외 경제분석 전문가분과
참석하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를 드립니다.
아울러, 그동안 공정거래위원회에
각별한 애정과 관심으로
지지와 협조를 아끼지 않으신
모든 분들께도 이 자리를 빌어 감사말씀을 드립니다.
개인정보 보호정책
캘리포니아주 거주자: CCPA 정보는 [여기]를 클릭하여 확인하십시오. 1. 사업 설명. Dynata, LLC(구 Survey Sampling International, LLC)와 Research Now Group, Inc., 및 세계 각지의 모기업, 계열사, 자회사(이하 총칭하여 “Dynata”)는 설문조사를 위한 샘플 추출 솔루션 및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전화(유선 및 무선/모바일), 우편 및 여러 가지 수단을 통해 소비자와 B2B 응답자를 고객과 연결합니다. Dynata는 다양한 영리 및 비영리 기업, 대학, 정부 기관, 부서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본 개인정보 보호정책은 당사가 수집하는 정보 유형, 정보 수집 수단, 정보 사용처, 정보 공유/공개 방식, 정보 저장 방식, 정보의 사용과 처리에 관한 고객의 선택권에 대해 설명합니다. 본 개인정보 보호정책은 Dynata가 직접 운영하거나 Dynata를 대신하여 운영하는 설문조사 패널이나 커뮤니티를 통한 정보의 수집, 처리, 저장, 전송 및/또는 폐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2. 수집하는 정보 유형 다음과 같은 정보가 수집됩니다. (I) 개인 식별 정보(“PII”)(성과 이름,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예: 자택, 휴대전화, 업무 번호), 거주지 주소 등을 포함). (Ii) 업무상 연락처 정보(회사 이름, 직책, 부서 등을 포함). (iii) 고용주 또는 당신이 대표로 있는 기업에 대한 정보. (iv) 자동화 수단을 통해 수집된 정보(IP 주소, 브라우저 유형, 운영 체제, 추천 URL, 웹사이트에서 실행하거나 참여한 행동/활동 정보, 웹사이트 방문 날짜와 시간 등을 포함). 3. 정보 수집 방법. (i) 귀하가 제출하거나 제공한 정보: (a) Dynata 기업 웹사이트를 통하여(rnssiintstg.wpengine.com, www.surveysampling.com, www.researchnow.com 등을 포함), (b) 실제 또는 잠재적 고객이나 의뢰인과의 업무 회의를 통하여, (c) 홍보, 회의, 행사 및 무역박람회, 산업 박람회, Dynata 및/또는 Dynata의 직원, 대표, 및/또는 대리인이 후원, 주최 또는 참석한 컨퍼런스를 통하여 (d) 전화 통화, 이메일 및/또는 그 외에 다른 형식의 의사소통 수단을 통하여 (ii) 제3자로부터 수집된 정보: Dynata는 제3자(정보 서비스국, 소셜 미디어 플랫폼 및/또는 산업 컨퍼런스, 행사 주최자, 후원자 등을 포함)로부터 PII와 업무상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하며 이에 국한되지 않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3자로부터 수집된 정보는 이메일 발송이나 본문에서 설명된 통신 수단 및 그에 국한되지 않은 방법을 통해 여러 가지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내용을 전달 받을 경우 귀하는 당사로부터 수신 거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iii) 자동화 수단을 통해 수집된 정보:
(a) Dynata 쿠키. 쿠키는 기기 또는 컴퓨터에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작은 파일입니다. Dynata는 웹사이트와 품질 관리를 사용 및 탐색하는 기능 등을 포함하며 여러 가지 목적으로 세션 및 영구 쿠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세션 쿠키는 브라우저를 종료하면 만료됩니다. 영구 쿠키는 삭제할 때까지 기기나 컴퓨터에 남아 있습니다. 사용자는 브라우저나 다른 수단을 통해 쿠키를 비활성화하거나 삭제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해 웹사이트 사용이 제한되거나 웹사이트와 관련하여 제공되는 기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b) 제3자 쿠키(Third party Coockies). Dynata는 제3자 쿠키(Third party Coockies)를 사용하여 서비스와 특정 기능을 제공합니다. Dynata는 제3자 쿠키(Third party Coockies)와의 계약을 통해 쿠키 사용을 관리하고, 계약에 규정된 특정 목적에만 쿠키를 사용하도록 제한합니다. (c) 로그 파일. Dynata의 웹사이트는 로그 파일에 특정 정보를 자동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P 주소, 브라우저 유형, 인터넷 접속 서비스, 추천/종료 페이지, 운영 체제, 날짜/시간 스탬프, 클릭 스트림 데이터 등 웹 브라우저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등을 포함하며 이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d) 쿠키 알림: Dynata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합니다. 이 웹사이트나 이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쿠키 목록을 확인하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4. 수집한 정보 사용처.
당사는 PII, 업무상 연락처 정보 등을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i) Dynata의 제품, 홍보, 서비스, 이벤트(예: 웨비나 등), 뉴스레터, 산업 전문성/지식(예: 백서, 문서 등)을 제공, 관리 및 전달합니다. (ii) 실제 및 잠재적 공급업체, 고객 및 의뢰인에 대한 Dynata의 디렉터리와 기록을 생성, 보충 및 업데이트합니다. (iii) 사기, 소송, 책임 배상을 예방 및 방지하고 위험 노출을 관리합니다. (iv) 문의와 요청에 대응합니다. (v) Dynata 사업(Dynata 제품 및/또는 서비스에 대한 거래를 완료, Dynata의 기존 제품 및/또는 서비스를 개선, 새로운 제품 및/또는 서비스 개발 등을 포함)을 운영, 평가, 이행 및 개선합니다. (vi) 옵트아웃 또는 구독 취소 요청을 처리 및 관리합니다. (vii) 관련 법률, 규정,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규약, 산업 표준 및 관행을 준수합니다. (viii) 마케팅 및 시장 조사 활동을 실시합니다. (a) 전화, 이메일 또는 그 외의 다른 수단을 통해 고객 만족도 조사/설문조사에 참여하기 위한 연락, (b) 기존 및 미래의 제품과 서비스 등 Dynata의 사업 활동에 대한 의견이나 피드백 요청. (ix) 귀하 또는 소속 회사와 Dynata와의 거래 및/또는 회사 프로필과 관련하여 서신을 작성 및 발송합니다. (x) 법원 또는 정부 기관의 소환이나 명령에 답합니다. (xi) 개인의 안전을 보호하거나 Dynata의 권리 및/또는 재산을 보호하는 등을 포함하며 이에 국한되지 않는 법적 청구권을 설정, 이행 또는 방어합니다. (xii) 고용에 대한 귀하의 관심을 평가하고 Dynata 및 Dynata 그룹사 내 계열사와의 잠재적 고용 기회와 관련하여 연락합니다. Dynata는 상기 목적 외에도 본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규정된 대로 당사가 수집하거나 수령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또는 미래의 제품 및 서비스 등을 포함하며 Dynata의 모든 사업 활동과 관련하여 당사에 피드백, 제안 및/또는 의견을 제공할 경우, 당사는 재량에 따라 별도의 고지 없이 귀하의 동의나 허가를 받지 않고, 보상 및 기여나 출처 표시 없이 이러한 피드백, 제안 및 의견을 사용, 적용 및 시행할 수 있으며, 귀하는 이로써 피드백, 제안 및 의견에 대한 모든 권리, 소유권 및 이익을 당사에 영구적으로 양도 및 이전합니다. 5. 정보 공유 방법 Dynata는 귀하의 정보를 판매하지 않으며, 본 개인정보 보호정책에서 설명한 목적이나 그 외에 동의를 얻은 목적을 제외하고는 정보를 공개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PII, 업무상 연락처 정보 등을 다음 대상에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i) Dynata 그룹사와 해당 기업의 이사, 관리자, 임원, 직원, 컨설턴트, 대리인. 본 개인정보 보호정책의 약관을 따르거나 그 외에 정보 수집 당시에 공개하거나 그 이후에 동의를 얻은 목적을 따릅니다. (ii) Dynata나 제3자와 계약을 체결하여 당사를 대신해 서비스를 이행하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비스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제공업체는 계약에 따른 서비스를 이행하고 제공하는 데 필요한 경우에만 정보를 사용하고 공개할 권한이 있습니다. (iii) 당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귀하에 대한 정보를 공개할 수 있습니다. (i) 관련 법률이나 법적 절차, 법원 절차에서 요구하는 경우, 또는 (ii) 피해나 재정적 손실을 방지하거나 실제 사기나 사기 혐의, 법적 활동의 조사와 관련하여 공개가 필요한 경우. (iv) 또한, 당사 사업이나 자산의 전체나 일부를 매각하거나 양도해야 할 경우 귀하에 대한 정보를 양도할 권리가 있습니다. 이러한 매각이나 양도가 필요한 경우, 당사는 귀하가 제공한 정보를 본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따라 사용하도록 양수인에게 지시하는 데 합당한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이러한 매각이나 양도 후에는 해당 정보 처리와 관련된 문의가 있을 경우 귀하의 정보를 양도한 기관에 연락을 취할 수 있습니다. 6. 정보 저장 위치 PII, 업무상 연락처 정보 등 모든 정보는 미국에 있는 서버와 시스템에 저장됩니다. 이 서버는 Dynata가 허가를 받아 운영하거나, 소유하거나, 관리합니다. 7. Dynata의 보안 조치 Dynata는 Dynata에서 수령하거나 수집한 PII 등과 같은 정보를 보호하는 데 적절한 기술적, 행정적, 물리적 안전 조치를 유지합니다. Dynata는 정기적으로 개인정보 보호정책 및 보호 시스템을 검토, 모니터링하고 평가합니다. 상기 조항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및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은 100% 안전하지 않으며 당사는 전송의 안전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Dynata는 개인이 당사에 PII를 제출하면서 발생한 오류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8. 옵트아웃 방법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옵트아웃할 수 있습니다. (a) Dynata 또는 Dynata와 관련하여 수신한 이메일에 포함된 구독 취소 링크를 클릭하거나 (b) 아래의 절차에 따라 연락합니다. 9. 정보 액세스 다음과 같은 수단으로 Dynata에 연락해 귀하로부터 또는 귀하와 관련하여 수집한 정보에 액세스하여 이를 검토, 수정 또는 삭제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 – [email protected]으로 이메일 요청을 보냅니다. – 정기 우편, 선불 우편을 통해 요청을 보냅니다. Dynata, LLC 6 Research Drive Shelton, Connecticut 06484 USA Attention: Legal – Information Request 10. 아동 개인정보 보호정책. Dynata는 온라인에서 아동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Dynata는 미국의 1998년 아동 온라인 개인정보 보호법(Children’s Online Privacy Protection Act(개정안)) 등 아동의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법률 및 규약을 준수합니다. Dynata는 PII 수집과 관련된 법률 및 규약에서 규정된 나이 제한을 넘지 않는 미성년자에게 부모 동의 없이 PII를 의도적으로 수집하지 않습니다. Dynata가 의도치 않게 해당 나이 제한을 넘지 않는 미성년자에게 PII를 수집한 경우, 즉시 해당 PII를 삭제합니다. 11. 정보 보관 기간 Dynata는 고객이 정보 처리에 대한 옵트아웃을 요청하고 최대 1년까지 정보를 유지하거나 보관합니다. 12.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대한 질문이나 불편사항이 있을 경우 연락처 Dynata의 개인정보 관행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과 관련하여 질문 또는 불만 사항이 있거나, Dynata에 옵트아웃 요청을 전달하거나 PII 처리에 대한 액세스, 검토, 수정, 삭제 또는 거부 요청을 보내고자 할 경우, [email protected]으로 이메일을 보낼 수 있습니다. Dynata의 법률 부서는 기관이 본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준수하게 할 책임이 있습니다. 13. 다른 웹사이트에 대한 링크. Dynata의 웹사이트는 고객에게 편의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른 웹사이트 링크를 포함하거나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웹사이트는 Dynata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됩니다. 링크된 사이트는 자체적인 개인정보 보호 고지나 정책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링크된 웹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이를 검토하시기를 권합니다. Dynata가 소유하거나 관리하지 않는 링크된 웹사이트에 방문할 경우, 당사는 웹사이트 콘텐츠, 웹사이트 사용 또는 해당 웹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대해 손해를 배상하거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14. 본 개인정보 보호정책 업데이트. 본 개인정보 보호정책은 정책에 규정된 Dynata의 관행과 절차 변경 사항을 반영하여 사전 고지 없이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습니다. 본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업데이트하거나 변경할 경우, Dynata는 당사 웹사이트의 눈에 띄는 곳에 공지하여 중요한 변경 사항을 알립니다.
15. 캘리포니아주 거주자
2018년 캘리포니아주 소비자 보호법(California Consumer Protection Act, “CCPA”)
2018년 캘리포니아주 소비자 보호법(“CCPA”) 및 특정 예외와 제한에 따라, 캘리포니아주 거주자는 Dynata가 보유하는 특정 개인정보와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한 권리를 이행하기 위해 당사에 연락할 수 있습니다. 귀하에게 해당 권리가 적용되는 경우, 아래를 참조하십시오. Dynata는 또한 당사의 고객을 대신하여 특정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해당 개인정보와 관련된 권리를 행사하고자 할 경우, 해당 고객에게 연락을 취해야 합니다. 수집, 공개 또는 판매된 개인정보에 대한 알 권리
귀하는 당사가 수집, 사용, 공개 및 판매하는 개인정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달라고 요청할 권리가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 가능한 소비자 요청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833-681-0436 (무료)으로 전화하여 요청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Dynata는 계정 로그인 요청 등을 비롯하여 귀하가 만족할 수준까지 신원을 확인할 권리가 있습니다.
귀하는 다음을 수령할 권리가 있습니다.
- Dynata가 최근 12개월간 수집한 개인정보의 카테고리
- 정보를 수집한 출처의 카테고리
- 수집 또는 판매를 위한 사업적/상업적 목적
- Dynata가 개인정보를 공유하는 제3자(Third party)의 카테고리
- Dynata가 귀하에 대해 수집한 개인정보(일부 예외 적용)
Dynata가 최근 12개월 동안 제3자에게 개인정보를 공개하거나 판매 했으므로(공개/판매라는 용어는 CCPA에 정의), 귀하는 다음을 수령할 권리가 있습니다.
- Dynata가 최근 12개월 동안 공개하거나 판매한 개인정보의 카테고리
개인정보 삭제를 요청할 권리
귀하에 대해 수집한 개인정보의 삭제를 요청할 권리가 있습니다(일부 예외 적용). 귀하는 위의 설명과 같이 요청을 제출할 수 있으며, 당사는 위에서 설명한 인증을 이행할 권리가 있습니다.
소비자 개인정보 보호권을 이행하는 데 차별을 받지 않을 권리
귀하는 CCPA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권을 이행하는 동안 Dynata에서 불법적인 차별 대우를 받지 않을 권리가 있습니다.
개인정보 판매를 옵트아웃할 권리
귀하는 Dynata의 개인정보 판매를 옵트아웃할 권리가 있습니다. 귀하는 여기 를 클릭하거나 833-681-0436 으로 전화하여 확인 가능한 소비자 요청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email protected]으로 이메일을 보내 옵트아웃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수집하거나 판매/공개되었을 수 있는 개인정보 카테고리 목록
Dynata는 패널 등록 도중 및 이후에 조사 참가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 예를 들어 설문조사에 참여하거나, 보상과 인센티브를 수령 및 사용하거나, 애플리케이션/서비스를 등록하고 다운로드 과정 및 이에 국한되지 않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수집할 수 있는 개인정보 카테고리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식별자”의 예시
- 이름
- 주소
- 전화번호(예: 자택, 휴대전화 및/또는 업무 전화번호)
- 이메일 주소
- 생년월일
-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 고유 기기 식별 번호(예: 분석이나 광고를 위한 식별자)
- 네트워크 제공업체 사용자 ID(네트워크 제공업체에서 할당한 고유 번호)
-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주소
- 국제 모바일 장비 식별 정보
- 고유한 쿠키 식별자
- 인터넷 또는 기타 전자 네트워크 활동 정보, 자동화 수단을 통해 수집된 기타 정보(자세한 정보는 [여기] 참조)의 예시:
- 기기에 대한 정보(예: 기기 운영 시스템, 기기에 설치된 다른 애플리케이션, 기기 네트워크 제공업체, 기기 유형, 시간대, 네트워크 상태, 브라우저 유형, 브라우저 식별자 및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기기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기타 정보)
- 위치 정보
- 쿠키 및 유사한 기술
- 소셜 미디어 정보
- 로그 파일
- 디지털 지문
- 워터마킹
- 브라우징 활동
위의 모든 정보는 [여기]에 설명된 목적으로 수집되었습니다. CCPA 용어에서 이러한 목적(본 개인정보 보호정책의 해당 섹션에 자세히 설명)은 다음과 같은 예시를 포함합니다.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나스닥(NASDAQ)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은 아래의 단어의 줄임말인데요.
- 전미증권업자협회 자동 주식시세(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한마디로 Nasdaq Stock Market 은 미국의 장외 주식거래시장이라고 머릿속에 넣어두시면 됩니다.
나스닥의 역사에 대해서 공부해 보면요..
- 1961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는 지역 내 모든 주식시장에 대한 조사를 통해 장외시장이 분열되고 모호하다는 보고서를 냈으며 이에 따라 장외시장의 자동화를 통한 거래시장의 통합을 이루고자 탄생한 것이 '나스닥'이라고 하는데요.참고로, 나스닥은 1971년 2월 8일에 개설되었다고 하네요.
그리고, 최초 설정 주가에 대해서 공부해보니.
최초 100포인트였다고 하고요.
현재는 무려. ㄷㄷ;; (참고로, 아래와 같이 구글에서 검색해 봤습니다. )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오늘기준으로(2022년 5월 31일) 12091 포인트 가 되었네요..그런데말입니다.
나스닥은 설정이후 10년 동안 많아야 200포인트일 정도로 성장이 정체된 시기도 있었다고 하네요..
하지만, 1982년 우량 40개 종목으로 구성된 나스닥NMS가 신설되었고 단순한 컴퓨터에 의한 자동통보에 그치던 것이 1985년 모든 나스닥에 주문 및 매매기능이 적용되며 현재의 시장규모 확대를 이루어냈다고 하네요.(정말로, 주옥같은 성장성을 지닌 나스닥이죠. )
나스닥의 특징은 미국 기업이 아니더라도 상장을 할 수 있다고 하네요.
예를들면. 쿠팡인데요..
원래는 나스닥 상장을 목적으로 하기도 했는데 NYSE 직행하는 기염을 토했죠.그리고, 개/폐장시각을 알아봤는데요..
미국 뉴욕 시각을 기준으로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하며, 서머타임 적용시에는 변동된다고 하네요..
- 일반거래회기(Normal Trading Session)의 개장시각: 9시 30분
- 일반거래회기의 폐장시각: 16시 00분그리고, 나스닥 상장관련 100개 기업을 모아둔 것이 있는데요. 바로 나스닥100이죠.
해당 지수를 추종하는 ETF 도 있는데요.미국에 상장된 QQQ 가 있고요..우리나라에는 TIGER 미국나스닥100 / KINDEX 미국나스닥 100 등등이 상장되어있습니다.
현재 저는 QQQ 와 TIGER 미국나스닥100을 동시에 꾸준하게 매달 정액정립식으로 모아가고 있습니다.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Equinix가 조달하는 모든 MWh의 재생 에너지는 Equinix와 고객 모두의 탄소 발자국을 줄입니다. 재생 에너지는 탄소 감소 전략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의 필수 구성 요소이며 고객과 파트너가 디지털 공급망을 친환경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합니다. Equinix는 2015년부터 RE100 회원 이 되었으며 2015년부터는 미국 환경 보호국(EPA) Green Power Partner National Top 100 기업이기도 합니다.
우리의 재생 에너지 원칙
Equinix는 100% 청정 및 재생 에너지 목표와 관련하여 구매 결정에 4가지 원칙을 적용합니다.
- 재생 가능 에너지 및 저탄소 에너지 활용
- 가능한 지역 재생 에너지원 확보
- 신규 또는 최근에 구축된 세대 소스 찾기
- 유리한 재생 에너지 정책을 지지하고 새로운 데이터 센터를 찾을 때 재생 에너지 가용성을 고려합니다.
지표 및 진행률
글로벌 운영 팀의 노력을 통해 우리는 성장함에 따라 재생 에너지 구매를 늘리고 확장하는 것을 우선시합니다. 2021년에 Equinix는 오버헤드 인프라와 고객 IT 부하 모두에 대해 데이터 센터에서 7,140GWh의 전력을 소비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11% 증가/감소했습니다. 이 2021년 소비량 중 6,770GWh 또는 95%가 재생 에너지로 충당되었습니다. 전년 대비 Equinix는 GWh 기준으로 재생 에너지 조달을 16% 늘렸습니다.
발자국 232 데이터 센터 총 2720만 평방미터 피트 27개국 소비 2021년 전력망 전력 7,140GWh 소비 1년에 미국 가정 610,000가구의 전력 사용량에 해당 데이터 센터에서 99%, 사무실에서 1% 재생 에너지 전 세계적으로 95% 재생 가능 100% 재생 에너지를 사용하는 205개 사이트 2021년에 재생 에너지 적용 범위가 추가된 7개의 새로운 국가 장기 전력 구매 계약에 따른 260MW 7,140GWh 사용 전력 중 6,770GWh 재생 가능 구매한 재생 에너지 MWh 16% 증가 우리는 우리가 사업을 영위하는 전 세계 모든 지역에서 재생 에너지를 조달합니다. 당사의 재생 가능 전력은 엄격한 보고 및 퇴직 기준을 충족하도록 인증된 다양한 프로젝트 및 제품에서 나옵니다. 우리의 원칙에 따라 우리는 지속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검토하여 재생 에너지 구매의 품질, 지역성 및 추가성을 높입니다. 핵심 초점 영역에는 인증서에서 VPPA(가상 전력 구매 계약)로의 전환이 가능하고 비용 효율적이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적용 범위에 추가가 포함됩니다.
2021년에 당사의 재생 에너지는 다음에서 공급되었습니다.
- 미국 오클라호마와 텍사스의 풍력발전단지
- 미국 및 브라질의 재생 에너지 인증서 및 지역 청정 에너지 또는 저탄소 프로그램
- 유럽 공급업체로부터 인증받은 그린 파워
- 핀란드 풍력 발전 단지(2024년 시운전 예정)
- 브라질, 중국, 콜롬비아, 핀란드, 인도, 일본, 멕시코, 오만, 폴란드, 터키, 아랍에미리트 및 베트남 등의 국가에서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의 국제 인증서
호주의 재생 에너지 추구
2021년에 Equinix는 다른 4개 기업 그룹과 함께 호주 경쟁 소비자 위원회(Australian Competition and Consumer Commission)로부터 친환경 에너지 구매를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공동으로 협상 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았습니다. Equinix가 이끄는 그룹은 태양열 및 풍력 발전소 에너지 발전을 위한 풀링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그룹을 국가 전력 시장에 연결하고 회사가 24년 동안 개별적으로 PPA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승인은 중요한 공익인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경쟁 증가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및 후속 투자를 촉진할 것입니다.
2021년 Equinix는 27개국에서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고 호주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재생 에너지를 구매했습니다.
재생 에너지 전략 외에도 우리는 현장 태양열 기회, 연료 전지에서 현장 발전 및 우리의 전체 전략에 맞는 기타 분산형 저탄소 기술을 계속 평가합니다.
현장 태양광 설치
현장 태양광 PV의 배치는 청정 에너지에 대한 우리의 약속의 가시적 지표로서 Equinix의 지속적인 초점입니다. 현장 배치가 총 재생 에너지 소비의 실질적인 비율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이러한 설치는 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활용하고 보다 깨끗한 에너지 그리드를 지원하기 위한 당사의 전반적인 비전에 기여합니다. 2021년에 호주의 3개 데이터 센터가 새로운 태양열 어레이로 가동되었습니다(각각 66kW, 39kW 및 33kW의 BR1, CA1, SY7). 이는 SV10의 실리콘 밸리에 있는 당사의 528kW 시스템과 같은 기존 글로벌 태양광 PV 시스템에 합류합니다. BO2에서 1,020kW 시스템; NY11에서 455kW, SG3에서 옥상 설치.
'외교문외한' 트럼프에 '미국우선주의' 가르친 외교책사는 누구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 미국 공화당 대선 선두주자인 도널드 트럼프가 27일(현지시간) 제시한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외교·안보 구상은 누구에게서 나왔을까.
한때 "내 최고의 외교정책 고문은 나 자신"이라고 말하기도 한 트럼프는 그동안 TV 토론과 인터뷰 등에서 '외교 문외한'의 모습을 보였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그러나 최근 몇 달새 외교·안보 관계자들을 잇따라 영입하며 그간 트럼프가 견지해온 미국 우선주의 구상을 보다 구체화했다.
지난달 트럼프가 공개한 외교·안보팀의 수장은 제프 세션스(앨라배마) 상원의원이다.
공화당 내에서도 극우파로 분류되는 세션스 의원은 앨라배마 주 검찰총장 출신으로 17년간 상원 군사위에서 활동하고 미국 거래 세션의 특징 현재 군사위 전략군 소위원장을 맡고 있다.
핵과 미사일, 정보, 동맹정책에 밝으며, 현대자동차 공장을 지역구에 두고 있어 한·미 관계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와 마찬가지로 이민자에 상당히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지난 2005년 트럼프가 유엔의 본부 건물 보수 계획을 맹비난했을 때 세션스 의원이 그를 상원 소위원회 청문회에 불러 증언 기회를 주기도 했다.
이후 별다른 교유는 없었으나 트럼프의 공화당 후보 지명 가능성이 높지 않던 지난 2월말 일찌감치 트럼프 지지를 선언하며 캠프에 합류했고 그때부터 트럼프의 외교정책을 주도했다.
또다른 외교안보 고문은 트럼프가 '대 테러 전문가'라고 평한 월리드 파레스 미국 국방대 교수다.
레바논 태생으로 하원 테러 관련 고문이기도 한 파레스 교수는 지난 2012년 대선에서 밋 롬니의 고문을 지내기도 했다.
카터 페이지 글로벌에너지캐피털 창립자와 벤 카슨 참모 출신의 조지 파파도폴로스 허드슨연구소 에너지안보 분석가도 에너지 전문가로 외교안보팀에서 활약하고 있다.
시카고트리뷴 보도에 따르면 페이지는 러시아 국영 천연가스 회사 가스프롬과도 거래하고 있어 미국의 대(對) 러시아 제재 이후 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가 대러시아 제재 완화를 지지한다는 점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강한 지도자'라고 치켜세우고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동맹에 부정적인 트럼프와 어느 정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이밖에 국방부 감찰관을 지낸 변호사 조 슈미츠, 육군 중장 출신으로 오라클에서 최고운영책임자(COO)를 맡기도 했던 조지프 키스 켈로그 등도 포함됐다.
슈미츠는 2007년 이라크에서 비무장 이라크인들을 폭격해 논란을 빚은 민간군사기업 블랙워터의 임원을 지내기도 했다.
켈로그의 경우 이라크 전쟁 후 2003∼2004년 이라크 연합군 임시행정처(CPA)에 몸 담기도 해서, 미군의 이라크전 개입을 비판해온 트럼프와는 입장이 다르다.
트럼프도 CNN과의 인터뷰에서 견해차를 인정하며 "고문들이 하는 말을 다 따른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면면이 공개된 트럼프 외교·안보 고문 가운데에는 공화당의 주류 외교안보 전문가를 비롯한 중량감 있는 인사들이 눈에 띄지 않는다.
공화당 외교안보 전문가들은 지난달 트럼프가 미국을 "덜 안전하게" 만들 것이라며 공개적으로 트럼프 반대를 표명한 바 있다.
트럼프 외교안보팀이 공개된 후 미국 군사전문지 밀리터리 타임스는 "트럼프 캠프에서는 거물급을 찾아볼 수 없다"며 "젭 부시나 마르코 루비오, 벤 카슨 캠프에 있던 인물들이 넘어왔다"고 설명했다.
0 개 댓글